To see the desired glossary, please select the language and then the field of expertise.

    Home
    • Korean
      • Economics
        • Search
          • Term
            • 스태그플레이션
          • Additional fields of expertise
          • Definition(s)
            • 경기침체 하의 인플레이션.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경제활동이 침체되고 있음에도 물가상승이 계속되는 '저성장 고물가' 상태를 말한다. 매일경제뉴스 - by Jay Kim
          • Example sentence(s)
            • 스태그플레이션의 공포가 한국 경제를 엄습하고 있다. 경기는 침체에 빠져드는데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은, 참고 견디는 것 외에 마땅한 처방이 없는 악성 증상이다. 한국 경제는 지금 물가상승률이 5%대(6월)로 올라서고, 성장률은 3%대(하반기)로 추락하는 등 저성장-고물가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아직 본격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기는 이르나, 스태그플레이션 터널의 입구에 다가서고 있다고 할 만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국제 유가가 더 올라 배럴당 150달러(두바이유 기준) 이상 수준이 상당기간 지속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1979년 2차 오일쇼크 때 이후 30년 만이다. - Chosun.com by Jay Kim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 경제학에서 고 물가(인플레이션)와 실직, 경기 후퇴(스태그네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이 경우 총공급이 줄어들어 물가가 오르고 GDP가 후퇴하며 이 결과로 투자 위축이 발생하여 실업률이 오르게 된다. 역사적으로는 1970년대 중동국가가 석유를 자원무기화 하면서 석유공급을 인위적으로 감소했고, 이로 인해 원유 공급가격이 급등하면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경제침체가 오면서 실업률이 높아진 경험이 있다. - 위키백과(Wikipedia Korean) by Jay Kim
          • Related KudoZ question
  • Compare this term in: Serbian, Croatian, Albanian, Arabic, Bulgarian, Catalan, Czech, Chinese, Danish, German, Dutch, Greek, English, Spanish, Persian (Farsi), Finnish, French, Hebrew, Hindi, Hungarian, Indonesian, Italian, Japanese, Latvian, Lithuanian, Macedonian, Norwegian, Polish,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lovak, Slovenian, Swedish, Turkish, Ukrainian

The glossary compiled from Glossary-building KudoZ is made available openly under the Creative Commons "By" license (v3.0). By submitting this form, you agree to make your contribution available to others under the terms of that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