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see the desired glossary, please select the language and then the field of expertise.

    Home
    • Korean
      • Economics
        • Search
          • Term
            • 매매가격차이
          • Additional fields of expertise
          • Definition(s)
            • 매매가격차이,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가격차이를 말한다. 사전 - by Yurim Jung
          • Example sentence(s)
            • 강남구와 서초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차이는 문재인 정권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 567만원에서 이듬해 1월 750만원, 지난해 1월 765만원, 올해 1월 863만원, 지난 9월 974만원으로 계속 커졌다. 송파구와의 격차도 꾸준히 벌어지고 있다. 지난달 송파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천979만원으로 강남구와의 차이는 2천194만원에 달했다. 강남구와 송파구의 매맷값 차이는 2017년 5월 1천527만원에서 지난해 1월(2천21만원) 처음으로 2천만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9월(2천153만원) 2천100만원 선마저 넘어섰다. 올해 6·17대책과 7·10대책을 통해 다주택자를 겨냥한 초강도 부동산 규제가 나오면서 강남권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 연합뉴스 by Yurim Jung
            • 강원지역 아파트 분양가와 매매가격 차이가 400만원대까지 벌어지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신규 아파트에 대한 '수요 쏠림'과 기존 아파트의 '경쟁력 상실'에 따른 시장 양극화가 심화된 결과다. 1일 부동산정보플랫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격은 989만원, 매매가격은 567만원으로 가격 차이가 422만원에 달했다. 이는 200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격차다. 가격차는 2018년까지 최대 200만원 선에서 2019년 345만원으로 폭등한 이후 2년 연속 급등세다. 이 같은 가격 차이 확대는 신규 브랜드 아파트의 잇단 공급 여파로 풀이된다. 비규제지역인 도내의 분양가격은 분양권을 활용한 수익형 투자활동이 수월한 만큼 건설사의 신규 공급과 수요가 몰리면서 폭등세를 이어왔다. 반면 경쟁력을 잃은 기존 아파트의 가격 하락으로 도내 매매가격 상승세는 비교적 더뎌 두 가격 간 격차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도내 3.3㎡당 분양가격은 2014년(654만원)부터 7년째 전년 대비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 도내 3.3㎡당 매매가격은 2015년(507만원)부터 6년째 500만원 선에 머물고 있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신규 단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분양 시세가 폭등한 반면 기존아파트는 수요 이탈로 경쟁력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 강원일보 by Yurim Jung
            • 27일 부동산114 시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는 5억1757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0년 초반 가구당 평균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가 1억원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최근 20년 사이 약 5배 커진 것이다. 여기에 현재 서울이 투기과열지구에 해당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0%가 적용되는 점을 고려하면 전세에서 매매로 이동 시 수요자들의 자금 마련은 더 힘든 상황이다. 반면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가 서울보다 적게 나타났다. 세종은 2억7002만원으로 서울의 절반에 그쳤으며 이어 △경기(1억5045만원) △부산(1억2872만원) △제주(1억2168만원) △대전(1억980만원) △대구(1억3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서울과 세종 외 지역은 1억원가량의 여유 자금이 있다면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서울의 전세가격이 점점 오르면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는 좁혀질 가능성이 높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저금리 여파와 집주인들의 거주 비율이 늘어나면서 서울 도심의 전세물건이 희소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격 차이가 좁혀질수록 매매시장으로 옮겨가는 수요자가 늘어나므로 지금의 전세난을 조기에 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e대한경제 by Yurim Jung
          • Related KudoZ question
  • Compare this term in: Arabic, Bulgarian, German, English, Spanish, Persian (Farsi), French, Italian, Portuguese

The glossary compiled from Glossary-building KudoZ is made available openly under the Creative Commons "By" license (v3.0). By submitting this form, you agree to make your contribution available to others under the terms of that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